포그 스크린은 유사 홀로그램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으나 홀로그램은 기본적으로 3차원 투영법이고, 포그 스크린 영상 투영은 2차원 투영법입니다.
미세한 물방울들로 구성된 스크린으로 유사 홀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있는 반투명 필름 스크린과는 달리 사람이 스크린을 뚫고 지나가는 것이 가능해 사람이 마치 영상 속으로 들어가거나 영상에서 나오는 것과 같은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매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데는 포그 스크린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전량 수입에 의존함으로써 발생하는 고가의 장비가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포그 스크린 생성 기술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술은 4~50㎛ 크기를 가진 부유 가능한 미세물방울들이 일정한 밀도를 가지고 하나의 평면 스크린을 유지하게 하는 것입니다.
포그 스크린은 포그의 분사 방향을 기준으로 상향식 포그 스크린 방식과 하향식 포그 스크린 방식, 두 가지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상향식 포그 스크린 방식은 생성장치를 지면 위에 고정하고 포그를 지면에 수직하는 위를 향하여 분사하여 반투명 스크린(반투명이지만 스크린에 빛이 닿지 않으면 스크린이 보이지 않습니다.)을 생성하는 방식이고, 하향식 포그 스크린 방식은 상향식과는 반대로 포그 스크린 생성장치를 상부에 고정하고 포그를 아래(지면) 방향으로 분사하여 반투명 스크린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포그를 발생 시키는 방법에는 물을 가열하는 방법과 가열하지 않고 진동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포그 스크린에서는 물을 가열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이나 화재의 위험성과 예열이 필요하여 즉각적인 반응이 힘든 점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물을 가열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예열이 필요 없이 상온에서 전기 공급과 동시에 작동이 가능하여 조작에 용이한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포그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진동자의 재료로는 세라믹 소자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진동자에서 발생되는 음파는 가청 주파수 대역을 벗어난 음역이라 사람의 청각으로는 확인하지 못하지만, 피부를 통한 촉각으로는 진동자에서 발생하는 음파를 느낄 수 있습니다.